1.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다중지능 간의 관계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지능 전체 간의 관계는 상관이 낮다. 특히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다중지능 전체 간의 관계는 상관이 낮다. 그런데 어머니의 애정적 태도와 음악적 지능 간에는 높은 정적 상관이 있었다. 그리고 어머니의 거부적 태도는 언어적 지능, 대인관계 지능, 개인이해 지능, 공간적 지능의 순으로 부적 상관이 있었다. 또한 자율적 태도는 공간적 지능 그리고 대인관계 지능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장영애의 애정적 태도가 논리-수학적 지능, 언어적 지능, 공간적 지능과 상관이 있다는 연구와는 일치하지 않는다. 하지만 음악적 지능은 통제적 태도가 정적 상관이 있다는 조덕제의 연구와는 일치한다. 즉, 거부적 태도가 다중지능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님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애정적 태도가 모든 다중적 지능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2.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정서지능 간의 관계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정서지능 간의 관계는 상관이 높았다. 특히 애정적 태도와 자율적 태도 그리고 정서지능 전체 간에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었다. 그리고 타인정서 조절, 자기 정서 인식, 타인정서 인식, 자기 정서 조절의 순서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그리고 거부적 태도는 타인정서 조절, 자기 정서 조절, 타인정서 인식의 순서로 부적 상관이 있었다. 이는 애정적이며 수용적인 어머니의 태도와 아동의 감성지능은 관계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어머니의 거부적 태도가 아동에게 위축감을 준다는 것을 보여준다. 어머니의 애정적인 태도는 아동의 정서지능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민주적이며 자율적일수록 아동의 정서인식, 감정이입, 정서조절, 정서활용 능력이 높게 나타난다.
3.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지능 간의 관계
어머니의 권위적이고 독재적인 태도는 아동의 정서가 불안정하도록 만들며, 아동이 부정적이고 반항적, 공격적, 적대적인 태도로 변할 수 있도록 만든다. 이는 어머니의 독재적인 태도가 아동의 지적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참고 -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지능과 다중지능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추성경, 2013, 영재교육연구)
2023.01.26 - [육아] - 아동의 뇌 발달과 인지 발달의 관계
아동의 뇌 발달과 인지 발달의 관계
1. 인간의 뇌기능의 발달 인간의 뇌는 수태 후 약 3주부터 발달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매 분마다 수천 개의 뇌세포가 생성된다. 출생 시 인간의 뇌의 무게는 약 450~500g 정도이고 성장 순서는 매우
sunnyspring100.com
2023.01.19 - [육아] - 아동의 뇌신경 발달을 위한 운동의 필요성
아동의 뇌신경 발달을 위한 운동의 필요성
1. 뇌신경의 정의 뇌신경이란 뇌에서 바로 나오는 신경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뇌신경은 12쌍으로 분류한다. 1번은 후각 신경으로 코로부터의 냄새정보를 인식한다. 2번은 시각 신경으로 눈으로부
sunnyspring100.com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아의 기질과 행복감의 상관관계 (0) | 2023.02.12 |
---|---|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과 양육방식 및 편식의 상관관계 (0) | 2023.02.09 |
임신 스트레스의 원인과 영향 (0) | 2023.02.05 |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발달 특성 (0) | 2023.02.03 |
편식의 개념과 원인 및 편식 아동의 성격 (0) | 2023.02.01 |
댓글